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

밈 주식과 짤경제 밈 주식과 짤경제요즘 애들의 투자 감각이 무서운 이유 '짤'처럼 터지는 주식: 밈 스톡 현상의 정체‘밈 주식(Meme Stock)’이라는 단어, 낯설지만 요즘 투자판에서 빠질 수 없는 키워드입니다.처음 이 용어가 주목받은 건 2021년 미국에서 게임스탑이라는 게임 유통 회사의 주가가 단기간에 1,700% 넘게 폭등하면서였습니다.놀랍게도 이를 이끈 건 기관 투자자도, 금융 전문가도 아닌 일반 개인 투자자들이었습니다. 1. 밈 주식이란?‘밈(Meme)’은 인터넷상에서 확산되는 유머 이미지나 영상 등을 뜻하지만,밈 주식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농담처럼 시작됐다가 실제 주가에 영향을 주는 종목을 의미합니다.보통 재무 상태나 실적보다, 짤/유행/커뮤니티의 힘으로 주목받아 주가가 급등락합니다. 예: Reddit의.. 2025. 4. 23.
드라마로 배우는 경제 구조 이야기 경제는 재미없다고 누가 그래?드라마로 쉽게 경제 구조에 대해 배워봅시다 드라마 속 자본주의: '재벌집 막내아들'로 본 기업 지배구조자본주의의 핵심은 기업과 시장입니다.그리고 우리가 즐겨보는 드라마 속엔 항상 이 두 가지가 중심에 있죠.특히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은 한국 대기업의 순환출자 구조와 지배권 싸움을 경제적으로 매우 흥미롭게 보여줍니다. 1. 순환출자란?대기업 그룹이 A회사가 B회사의 주식을 갖고, B회사가 C회사를 지배하고, C회사가 다시 A회사의 지분을 보유하는 방식으로 자본금은 작지만 지배력은 크게 유지하는 구조를 말합니다. 예시:진도준(송중기)이 회장 자리에 도전하며 활용한 ‘회사 간 지분구조’ 트릭차명계좌, 페이퍼컴퍼니 설립 등 실소유자의 움직임을 경제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음 이.. 2025. 4. 23.
돈보다 시간을 벌 수 있다면? 돈보다 시간을 벌 수 있다면?시간의 경제학 실험과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시간은 자산이다: 경제학적으로 보는 '시간의 가치'우리는 대부분 ‘돈’을 벌기 위해 시간을 씁니다.하지만 경제학에서는 시간이야말로 가장 귀중한 자산이라고 이야기합니다.왜냐하면 시간은 저장도, 복구도, 이월도 되지 않는 ‘비가역적 자원’이기 때문입니다. 시간의 기회비용 개념기회비용이란 어떤 선택을 할 때 포기하는 다른 선택의 가치를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1시간 아르바이트를 해서 10,000원을 벌 수 있다면, 그 1시간은 최소 10,000원의 가치가 있습니다.하지만 반대로, 10,000원을 아껴도 그에 소요된 시간이 1시간이라면, 실제론 손해일 수 있습니다. '돈 중심' 소비의 착시우리는 종종 '싸게 샀다.. 2025. 4. 23.
치킨값이 알려주는 세계경제의 흐름 치킨값이 알려주는 세계경제의 흐름에 대해 알아봅니다“치킨 한 마리에 세계경제가 숨어있다” 1.치킨이 왜 이렇게 비싸졌을까?어느 날 저녁, 배달앱을 켜고 치킨을 주문하려다 놀랐습니다."어? 치킨 한 마리에 24,000원...?"예전엔 15,000원도 비싸게 느껴졌는데, 지금은 웬만한 브랜드는 2만원이 기본, 사이드나 음료를 추가하면 3만원에 육박하기도 합니다.이건 단순한 체감이 아니에요. 실제로 치킨값은 가파르게 올랐고, 이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 현상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예요.그런데 치킨값 상승은 단순히 ‘업체의 탐욕’ 때문이 아닙니다.닭을 기르는 사료값부터, 유통, 포장, 인건비, 배달비, 광고비까지…치킨 한 마리엔 다양한 경제 요소들이 얽혀 있어요.즉, 우리는 치킨값 하나만 봐도 우리나라 경제, .. 2025. 4. 22.
편의점에서 배우는 미시경제학 편의점에서 배우는 미시경제학일상의 작은 가게에서 발견한 경제의 큰 원리에 대해 알아봅니다 1.가격은 누가 정할까? – 수요와 공급의 현장편의점에서 물 한 병을 집었을 때, 혹시 가격이 왜 그런지 궁금해본 적 있으신가요?같은 생수인데 마트에선 500원, 편의점에선 1,000원.“이건 너무한 거 아냐?” 싶을 수도 있지만, 이건 단순한 ‘폭리’가 아닙니다.바로 ‘수요와 공급’, 그리고 ‘편의성’이라는 가치가 개입된 가격이죠.편의점은 24시간 문을 열고, 집 근처에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며, 손쉽게 원하는 물건을 찾을 수 있습니다.이런 편의성은 비용으로 환산되며, 소비자 입장에서 ‘편하게 사고 싶다’는 욕구(수요)가 강할수록 가격이 올라갑니다.즉, ‘높은 수요’와 ‘한정된 공간에서의 공급’이 만나 가격이 결.. 2025. 4. 22.
1만원권의 외출 – 하루 동안 벌어진 일들 1만원권의 외출 – 하루 동안 벌어진 일들을 돈의 입장에서 생각해서 써봤습니다 1.지갑 속에서의 평화, 그리고 갑작스러운 빛안녕하세요. 저는 1만원권입니다.1982년생이라고 하면, 다들 "아직도 살아있냐"고 물어요.맞아요, 요즘엔 제 친구들(현금)이 많이 사라졌죠.카드, 간편결제, 페이... 요즘 세상에서 제 자리는 거의 사라졌지만, 그래도 저는 아직 숨 쉬고 있습니다.오늘은 정말 오랜만에 외출을 하게 됐어요.검정색 반지갑 안에서 조용히 잠들어 있었는데, 갑자기 빛이 확!주인이 저를 꺼내들었어요. 손끝이 약간 떨리는 걸 보니 무언가 급했나 봅니다.드디어 나의 출동인가. 두근거리는 마음을 간직한 채, 저는 그의 손에 들려 거리로 나섰죠. 2.편의점, 내 첫 번째 사명지첫 번째 목적지는 편의점.어젯밤 야근.. 2025. 4. 22.